안녕하세요.
==================
1.둘중 어떤일이 힘든가요?
둘다 힘든일이지만 둘중 일이 더 힘든건 어느쪽인가요?
더 안정적인곳은 어딘가요?
=> 일의 강도 및 상황은 사람의 생각과 본인 여건에 따라서 매우 다르 다 할 수
있으며 어느 일이 힘든 것에 관해서는 주관적인 생각이 대부분이라
객관적인 답을 할 수 없다 생각합니다.
=> 일의 안전성은 - 지입 영업용 화물일 자체가 용역 계약이므로,
안정성을 논하기보다는 조건 및 월급 (용역비 등)에 따라서 움직여야 한다고 보며
이에 본인 여건과 계약된 차량을 가지고 최대한 수익 내지는 여건을 보고
선택하는데 맞다고 생각합니다.
2.세금을 1년에 두번 직접 낸다던데 수입을 400이라
가정시 얼마가 나가는건가요? 만약부가세를
매달 받으면 세금으로 다 내는건가요?
=> 지입 차량이면 소속된 운수회사에서 부가세를 관리해 주며
소득세만 본인이 챙겨서 납부를 하면 되는데, 이 부분도 소속된 운수회사와
연결된 세무사를 통해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비용 발생)
=> 수입이 400만 원이라고 해도 지입차주의 재산 상황 및 매입 세액 등으로
세금은 달라질 수 있기에 얼마라고 확정하여 말을 할 수 없으며
만약 400만 원의 수입 관련하여 부가세 10% 40만을 더 받게 돼서
매입한 내역이 없다면 40만 원은 다시 부가세로 납부를 해야 합니다.
=> 부가세는 매입과 매출을 맞춰 신고를 하고
소득세 부분은 - 연 매출로 1억이 넘지 않는다면 그리 많은 세금은 없습니다.
=>3.선탑시 차량상태 보는방법은 무엇인가요?
경험무.
=> 지입 차량은 차량 상태도 중요하지만,
일의 신뢰성 및 물동량 등을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 관건이며
차량 상태를 잘 모른다면 인수하기 전 현재 운행 중인 차주와 카센터에 들려
정확히 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4.차량가격은 어느정도가 적정선일까요?
=> 지입 차량은 실제적인 중고차량 가격 외에 권리금 성격의 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센터나 차량의 일하는 조건별로 다를 수 있고 정해진 가격이 없으니,
같은 센터 내 다른 차량의 가격을 조사해 보거나 인터넷에 지입 관련한 사이트
및 카페 등에 방문하여 비슷한 조건이나 연식의 차량들을 조회해서 시세를
감안해 보시길 바랍니다.
5.화물차보험은 1년에 한번 내는건가요?매달 내는건가요?
=> 책임 보험은 1년에 1회 납부하며
대인/대물 보험료를 6회 납 이나 12개월로 나눠 납부를 합니다.
참고하시고 더 궁금한 사항은 해당 답변 마무리 후,(채택 등)
1 : 1 질문해 주시면 제가 아는 선에서는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제 네임텍을 클릭하시면 블로그 주소가 있는데
해당 블로그 "영업용 지식in"란을 참고해 보시면
지입 - 영업용 화물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모바일로는 네임카드가 보이지 않으니 PC버젼으로 변경하셔서 보시면 됩니다)
물류컨설팅, 지입, 지입차, 화물운송, 화물배차, 개별용달, 개별화물, 법인넘버, 운수면허
감사합니다.
2018.10.17. 10:33